다들 집에서 뭐하세요?

코로나19 이슈로 전 세계가 공포에 빠져있습니다. 많은 기업들이 재택 근무를 도입하고 있는 한편, 학교는 개학을 늦추었고 각종 오프라인 행사들은 취소되었습니다. 유럽과 미국은 정부가 나서서 시민들의 외출을 통제하고 있죠. 자 그렇게 집에 있는 우리들은,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?


일단 나가지 않는다는 것은 알겠습니다.

출처: 이데일리

볼 것도 없이 극장가는 초토화되었습니다.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, 작년 대비 1/3토막났어요. 공연도 마찬가지입니다. 70% 넘는 하락폭을 기록하고 있어요. 이는 좀 더 장기화될 예정입니다. 마블, DC, 넷플릭스는 모든 촬영을 중단했습니다. 디즈니는 당분간 아예 박스오피스 집계를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죠. 아무튼, 나가서 뭔가 문화생활을 하지 않는다는 건 (실제 숫자는 좀 더 아프지만) 생각하지 못한 건 아닙니다.


그럼 집에서 뭐하나요? 음악 듣나요?

출처: 쿼츠

아니네요.

이탈리아는 코로나 이후 스포티파이 탑200의 스트리밍 수가 23% 하락했습니다. 이게 사람들이 집에서 음악을 잘 스트리밍하지 않는다고 합니다. 출퇴근시간 이어폰 타임이 없는데다가, 주말에 야외활동을 하는 일도 없어지니 스트리밍 들을 일이 많이 없어진 셈이죠. 심지어 이탈리아와 프랑스 정부는 조깅도 금지했다고 합니다. 그렇다면 뭐..

출처: 벤처스퀘어

그런데 국내 팟캐스트 1위, 팟빵의 청취시간은 늘었습니다. 주 단위로 치면 37% 가량 늘었다고 해요. 이것이 각종 시사이슈가 터지면서 뉴스에 대한 니즈가 많아져서 그런건지, 집에서 대충 백그라운드용으로 틀어놓기에 라디오가 나아서인건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, 음악 스트리밍이 하락한 반면 팟캐스트가 오른 건 좀 재미있네요.


TV와 OTT, 안봐도 비디오겠죠?

출처: 아시아경제
출처: 조선일보

네.

유럽은 최대 OTT 트래픽이 60%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있습니다. 국내는 그 정도까지는 안되나봐요. 15~20% 정도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. 미국 역시 비디오 스트리밍 트래픽이 12% 증가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

전 세계의 모바일 트래픽의 30%가 유튜브고, 5% 가량이 넷플릭스 류의 OTT입니다. 그 거대한 트래픽이 두 자리 수 증가하게 생겼다고 하니, EU가 넷플릭스/디즈니에게 저화질 전송 요구를 해야겠어요 안해야겠어요?

재미있는 건 전체적으로 인터넷을 많이 쓴다고는 합니다만, 소셜미디어의 사용은 늘지도 줄지도 않는다는 겁니다. 집에 오래 있는다고 뭔가를 더 올리는 것도 아니고, 남의 피드를 더 보는 것도 아니고. 그냥 뭔가를 틀어놓고 멍하니 보거나 듣고 있는 듯해요. 수동적으로 말이죠.


근데, 딱히 수동적인 액션도 아닌데 코로나 기간 동안 75%나 늘어난 트래픽이 하나 있습니다. 그것은 바로..

출처: 헐리우드리포터

자 솔직히 말해봐요. 재택 중에 게임 했어요 안했어요.

미국 코웬 증권사의 리포트에 따르면, ‘포트나이트’ 같은 게임의 트래픽이 70% 넘게 늘었다라고 합니다. 자 집에 있으면서 재택 근무도 하고 팟캐스트로 교육적인(?)거 틀어놓고, 근데 중간중간 유튜브도 보고 넷플릭스도 보고 하는데 따분하고.. 게임 딱 한판만 할까? 괜찮아요 뭐 그럴 수 있죠.


아냐, 이럴 때일 수록 밀린 책이나 읽는다고요?

출처: abc뉴스

자 다음.

책 판매는 10% 빠졌다고 합니다. 그나마 이게, 아동 학습지 매출이 늘어서 이 정도로 그친거에요. 성인들의 논픽션, 그러니깐 사회과학이나 실용서 같은 책들은 가장 크게 빠졌다고 해요. 재미있는건 아동용 픽션도 빠졌네요. 자녀들 동화책 사주는 걸 줄이고, 학습지를 늘리다니.. 부모님들의 교육의지..가 느껴지는 듯 합니다…만?

출처: 디지데이

근데.. 항복이었네요.

결국 이 시기 카툰네트워크나 디즈니 같은 아동용 엔터테인먼트 채널 트래픽이 엄청나게 올랐습니다. 그러니까.. 아동용 학습지는 잔뜩 샀는데.. 어린이들 만화 채널 시청률이 60% 가까이 올랐다는 건, 그 와중에 9월 개학 논의가 나온다는 건.. (극장도 못가고 공원이나 공연도 못가고..) 전 세계의 부모님들 화이팅이에요.

OTT 트래픽보다 게임 트래픽이 크게 늘었다는 것도, 아동 학습지는 열심히 샀어도 카툰네트워크 시청률이 훨씬 크게 늘었다는 것도, 다 이해합니다. 스트레스는 풀어야지요. 네 그렇죠.


+
근데 이 시기에 뉴스 서비스들의 트래픽 역시 아주 크게 올랐다던데.. 아니 이바닥늬우스는 뭐죠.. 뉴스가 아니었나.. 흑

댓글 남기기

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:

WordPress.com 로고

WordPress.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. 로그아웃 /  변경 )

Facebook 사진

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. 로그아웃 /  변경 )

%s에 연결하는 중

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.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.